티스토리 뷰
목차
2025년 난임지원금 약제비 신청 프로게스테론 원외처방 보건소 완벽 가이드
난임지원금 약제비란
난임지원금 약제비는 난임 시술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원외처방약에 대해 지원받을 수 있는 별도의 지원제도입니다. 시술비 지원과는 독립적으로 신청할 수 있으며, 지원 상한액 내에서 추가로 경제적 부담을 덜어줍니다.
특히 프로게스테론 계열의 황체호르몬 보충제, 착상유도제, 유산방지제 등이 주요 지원 대상이며, 이러한 약물들은 난임 시술 성공률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지원 대상 약제
프로게스테론 계열 약제 (비급여)
- 프로게스테론 질정 및 주사
- 타이유 프로게스테론 주사
- 슈게스트 프로게스테론 주사
- 제니퍼 프로게스테론 주사
- 루티너스 질정
- 유트로게스탄 질정
- 예나트론 질정
- 크리논 겔
- 사이클로제스트
- 프롤루텍스주
급여 약제
- 페마라정 (레트로졸) - 배란유도제
- 기타 시술과 직접 관련된 원외처방약
지원 조건 및 범위
지원 조건
- 시술비 지원 대상자: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을 받은 대상자
- 지원금 잔액: 시술 종료 후 지원금액에 잔액이 있는 경우
- 시술 기간: 시술비 지원과 동일한 기간에 발생한 원외처방
- 원외처방: 병원 내 처방이 아닌 외부 약국에서 조제한 처방전
지원 범위
구분 |
지원 내용 |
비고 |
---|---|---|
급여 약제 | 시술과 직접 관련된 원외처방약 | 건강보험 적용 약제 |
비급여 약제 | 프로게스테론 계열 약제 | 자궁착상유도제, 유산방지제 |
지원 한도 | 지원상한액 잔액 범위 내 | 시술비 지원 후 남은 금액 |
신청 절차
1단계: 시술 완료 및 지원금 확인
- 난임 시술 완료
- 시술병원 원무과에서 지원금액 잔액 확인
- 원외처방전 발급 및 약국에서 조제
2단계: 필요 서류 준비
- 약제비 청구서: 보건소에서 양식 제공
- 시술확인서: 병원에서 발급
- 원외약 처방전: 원본
- 약제비 영수증: 약제명과 금액 기재
- 통장 사본: 시술자(여성) 본인 명의
3단계: 보건소 신청
- 신청 방법: 방문, 이메일, 우편
- 신청 기간: 시술 완료 후 1개월 이내
- 신청 장소: 여성 주소지 관할 보건소
4단계: 심사 및 지급
- 의료기관 시술비 청구 확인 후 지급
- 개인 지급은 시술비 지급보다 다소 시간 소요
- 지원금액 한도 내에서 지급 결정
신청 방법 상세
방문 신청
- 장소: 여성 주소지 관할 보건소 모자보건팀
- 시간: 평일 오전 9시~오후 5시
- 지참물: 신분증, 필요 서류 일체
이메일 신청
- 방법: 각 보건소 담당 이메일로 서류 전송
- 장점: 방문 없이 편리하게 신청
- 주의: 원본 서류 스캔 또는 사진 첨부 필요
우편 신청
- 방법: 등기우편으로 서류 발송
- 주소: 관할 보건소 모자보건팀
- 주의: 원본 서류 분실 위험 고려
주요 지원 약제 상세 정보
프로게스테론 질정
질을 통해 투여하는 프로게스테론 제제로, 착상과 임신 유지에 필수적인 황체호르몬을 보충합니다. 루티너스, 유트로게스탄, 예나트론 등이 대표적입니다.
프로게스테론 주사
근육주사로 투여하는 프로게스테론 제제로, 타이유, 슈게스트, 제니퍼 등의 제품이 있습니다. 황체기능부전 개선과 유산 방지에 사용됩니다.
크리논 겔
질에 도포하는 겔 형태의 프로게스테론 제제로, 사용이 편리하고 흡수율이 좋아 널리 사용됩니다.
지급 시기 및 방법
지급 순서
- 의료기관에서 시술비 청구
- 보건소에서 시술비 지급
- 지원상한액 잔액 확인
- 약제비 심사 및 지급 결정
- 대상자 계좌로 약제비 입금
지급 소요 시간
- 시술비 지급: 의료기관 청구 후 14일 이내
- 약제비 지급: 시술비 지급 확인 후 추가 시간 소요
- 총 소요 기간: 약제비 신청 후 2-4주 정도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시술비 지원을 받지 않아도 약제비만 신청할 수 있나요?
A1. 아니요. 약제비 지원은 시술비 지원을 받은 대상자에 한해 지원상한액 잔액 범위 내에서만 가능합니다.
Q2. 병원에서 처방받은 약도 지원받을 수 있나요?
A2. 원외처방약만 지원 대상입니다. 병원 내에서 직접 조제한 약은 시술비에 포함되므로 별도 지원되지 않습니다.
Q3. 신청 기간을 놓치면 어떻게 되나요?
A3. 시술 완료 후 1개월을 초과하면 신청이 불가능합니다. 기간 내 신청이 필수입니다.
Q4. 지원받을 수 있는 약제인지 어떻게 확인하나요?
A4. 의약품안전나라 홈페이지에서 해당 약제를 검색하여 주성분이 프로게스테론인지 확인하거나, 보건소에 문의하시면 됩니다.
Q5. 여러 번 시술받았는데 약제비도 여러 번 신청할 수 있나요?
A5. 네, 각 시술 차수별로 지원상한액 잔액이 있다면 매번 신청할 수 있습니다.
보건소별 신청 안내
서울시 보건소
- 신청 방법: 방문, 이메일 신청 가능
- 문의 시간: 평일 오전 9시~11시 30분, 오후 1시~5시
- 특이사항: 온라인 접수 가능 (정부24, e보건소)
경기도 보건소
- 신청 방법: 주로 방문 신청
- 문의: 각 시·군 보건소 모자보건팀
- 특이사항: 지역별로 세부 절차 상이
약제비 지원 활용 팁
비용 절약 방법
- 처방전 분할: 가능한 경우 원외처방으로 받기
- 약국 비교: 동일 약제의 가격 비교 후 구매
- 제네릭 의약품: 동일 성분의 저렴한 약품 선택
- 신청 시기: 시술 완료 즉시 준비하여 기간 내 신청
신청 성공률 높이기
- 서류 완비: 모든 필요 서류를 정확히 준비
- 약제명 확인: 지원 대상 약제인지 사전 확인
- 영수증 보관: 약제명과 금액이 명확히 기재된 영수증 보관
- 잔액 확인: 지원상한액 잔액 미리 확인
관련 제도 활용
시술비 지원과의 연계
약제비 지원은 시술비 지원의 연장선상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입니다. 시술비 지원을 최대한 활용한 후, 남은 지원금액으로 약제비를 신청하시면 됩니다.
의료비 공제
지원받지 못한 약제비는 연말정산 시 의료비 공제 항목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영수증을 잘 보관하시기 바랍니다.
마무리
난임지원금 약제비는 시술비 지원과 별도로 받을 수 있는 소중한 지원제도입니다. 특히 프로게스테론 계열의 착상유도제나 유산방지제는 비용이 상당하므로, 이러한 지원을 잘 활용하면 경제적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시술 완료 후 1개월 이내라는 신청 기간을 꼭 지키시고, 필요한 서류를 정확히 준비하여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면 관할 보건소에 미리 문의하여 정확한 정보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관련 문의 및 신청:
• 정부24: www.gov.kr (1588-2188)
• e보건소: www.e-health.go.kr (1566-3232)
• 거주지 관할 보건소 모자보건팀
• 의약품안전나라: nedrug.mfds.go.kr